티스토리 뷰

반응형

윈도우10(Windows10)은 기존의 윈도우7 그리고 윈도우8과 다르게 업데이트 기능이 자동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시간에 업데이트를 권장받거나 컴퓨터를 재 시동을 걸 때 어쩔 수 없이 업데이트를 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어떠한 업무를 할 때 다시 잠깐 컴퓨터(PC)를 껐다가 키려고 하는데 갑자기 업데이트가 진행되면서 아까운 시간을 소비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물론 이러한 업데이트의 대부분은 버그패치, 보안패치가 많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해주는 것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또한 윈도우10 같은 경우 대규모 업데이트를 받게 되면 정품이 아닌 윈도우10에서는 모니터 화면 왼쪽에 워터마크로 윈도우10 정품인증을 하라고 나오게 되기 때문에 정품 외에 윈도우10를 쓰는 분이라면 자동 업데이트를 끄는 것도 좋습니다.



윈도우10 업데이트 끄기 자동진행을 막는법.


1. 제어판으로 이동하기.

윈도우10 자동 업데이트 끄기를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컴퓨터 홈화면 왼쪽 아래에 있는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 후 [제어판]을 적고 제어판으로 이동합니다.

윈도우10에서 제어판찾기는 좀 귀찮아졌기 때문에 위와 같이 검색으로 제어판을 찾는 게 더 수월하고 좋습니다.


2. 관리도구로 이동하기.

제어판을 열고 오른쪽 위에 있는 [보기 기준]을 [큰 아이콘]으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관리도구]로 이동을 하여주세요.

관리도구를 누른 후에 [서비스] 메뉴를 찾아서 더블클릭을 합니다.



3. Windows Update파일을 찾기.

서비스(로컬) 프로그램 창에서 Windows Update(윈도우 업데이트) 항목을 찾아서 더블클릭하여줍니다. 해당 Windows Update는 화면 거의 밑 쪽에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4. 업데이트 유형을 설정하기.

Windows Update를 실행하면 위와 같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이제 [시작 유형]을 클릭해서 자동, 수동, 사용 안 함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윈도우10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하지 않고 수동으로 하려면 수동을 선택하면 되고 윈도우10 업데이트를 완전히 끄고 싶다면 [사용 안 함]을 선택하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